전남대, 4단계 BK21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표창 ‘역대 최다’ ...
전남대, 4단계 BK21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표창 ‘역대 최다’ 3명 수상 3명의 수상자 배출로 연구 우수성 증명 연구 역량 기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사진 왼쪽부터 공나형, 정송아, 차범석 수상자) 전남대학교가 ‘4단계 BK21 사업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표창’에서 역대 최다인 3명의 수상자를 배출하며, 연구 역량과 인재 양성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표창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4단계 BK21 사업에 참여한 대학원생 및 신진 연구자 중 뛰어난 연구 성과를 거두었거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재를 발굴해 수여하는 상이다. 올해는 전국 583개 교육연구단에서 추천된 후보 중 단 29명이 최종 선정됐으며, 전남대는 우수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다수의 수상자를 배출하며 그 저력을 과시했다. 수상자 중 공나형 학술연구교수(지역어문학 기반 창의융합 미래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단장 장일구)는 한국어교육 및 의미화용론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며, 재직 기간(2022년 8월 이후) 동안 KCI 등재 논문 16편(단독 10편, 제1저자 5편, 교신저자 1편)과 공저 논문 3편을 발표했으며, 신진연구자상 2회 수상,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및 연구 프로젝트 수행 등을 통해 탁월한 연구 성과를 달성했다. 첨단화학소재 교육연구단(단장 윤현석) 정송아 박사과정생(고분자공학과, 지도교수 김형우)은 고분자 구조 설계 및 합성 연구를 수행하며, 2020년 9월 BK21 사업 참여 이후 평균 임팩트팩터 7.9의 SCI 논문 17편을 발표했다. 이 중 6편은 평균 임팩트팩터 11.5로 JCR 상위 10%에 포함되며 제1저자로 게재됐다. 또한, 국내외 학술대회 9회 발표를 통해 국제적으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미래혁신기계기술 인재양성 교육연구단(단장 정승훈) 소속 차범석 박사과정(기계공학과, 지도교수 박진수)은 음향미세유체역학 분야에서 융합학문의 새 지평을 열고 있다. 2022년 3월 BK21 사업 참여 이후 JCR 상위 10% 내 SCI 제1저자 논문 4편(표지 논문 1편 포함), 공저 논문 5편(표지 논문 1편 포함)을 발표했으며, 특허 등록 1건과 특허 출원 5건(국제 1건 포함), 학회 수상 5건(최우수논문상 및 우수학위논문상 포함) 등의 성과를 기록했다. 특히 정송아·차범석 박사과정생은 2024년 신설된 ‘전남대학교 대학원 인재상’의 첫 수상자로도 선정됐다. 이 상은 연구 업적, 자기소개서, 연구계획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전남대 최고의 인재를 발굴하고 격려하기 위해 제정됐다. 이번 수상자들이 소속된 교육연구단은 미래인재 및 혁신인재 중간평가에서 상위 20%에 포함된 우수 연구단으로, 세계적 수준의 학문 성과를 창출하며 전남대의 연구 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다. 김수형 전남대학교 연구부총장은 “전남대학교는 4단계 BK21 사업을 통해 학문후속세대가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연구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연구 인재들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혁신과 대학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남대 인권센터, 광주·전남 대학인권센터협의회 성과발표회 개최
전남대 인권센터, 광주·전남 대학인권센터협의회 성과발표회 개최 광주·전남 16개 대학 참여 지역 대학 인권센터 간 네트워크 강화 전남대학교 인권센터(센터장 홍관표)는 지난 2월 7일(금) 홀리데이 인 호텔 컨벤션홀에서 광주·전남 대학인권센터협의회(이하 협의회) 소속 센터장 및 실무 담당자들과 함께 2024년 한 해 동안의 성과를 결산하는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성과발표회에는 협의회 의장기구인 전남대 인권센터를 비롯해 광주·전남 지역 16개 대학(광주 12개, 전남 4개) 인권센터의 센터장과 실무 담당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또한 광주광역시,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사무소, 전라남도경찰청 등 유관 기관 관계자들도 함께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2024년 협의회 운영 성과를 돌아보고, 전남대 인권센터의 법률자문단 운영 사례와 2024년 7월 이후 대학 관련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를 공유했다. 이어 사전에 준비된 『전문가와 함께하는 인권센터 업무 Q&A』 자료집을 토대로 문기라 대표(한국대학성평등·인권센터협의회)와 김인희 변호사(서울대학교 공익법률센터)의 참여 아래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홍관표 전남대 인권센터장은 “광주·전남 대학인권센터협의회가 지난 2년간 이뤄낸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2025년부터는 협의회 소속 대학 인권센터 간 협력 관계를 더욱 내실 있게 다져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남대 화학과 이선우 교수, ‘광주광역시장상’ 수상
전남대 화학과 이선우 교수, ‘광주광역시장상’ 수상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이선우 교수가 지난 2월 11일 ‘광주광역시장상’을 수상했다. 이선우 교수는 2004년 전남대학교 화학과 전임교원으로 임용된 이래, 20년 동안 화학 분야 우수 인재 발굴 및 육성(석사 43명, 박사 11명 배출), BK21 장학사업 및 정부 연구과제 유치, 산학협력 활동 등 지역 사회와 화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한, 이 교수는 전이금속 촉매 짝지음 반응 분야 및 고분자 화합물 후기능화 반응 분야의 선구자로서, 180여 편의 SCI 논문 발표, 다수의 학술상 수상, 한국유기합성학회 기금위원, 대한화학회 BKSC 상임편집위원 등 유기화학 분야에 뛰어난 업적을 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