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해양학과 학부생 SCI급 논문 발표 ‘화제’
전남대 해양학과 학부생 SCI급 논문 발표 ‘화제’ 전남대학교 학부생이 SCI(E)급 국제학술지에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해 화제다. 해류 변화에 따른 플랑크톤 군집 다양성을 다룬 전남대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4학년 김윤희 학생(지도교수 장세현)의 논문이 국제학술지인 ‘프론티어스 해양과학’에 6월 5일자로 실렸다. 프론티어스 해양과학은 피인용지수(IF) 5.247, 저널인용보고서(JCR) 상위 5% 이내에 해당하는 해양생물학 분야 최상위 저널이다. 김윤희 학생은 해당 논문에서 북동중국해에서 계절에 따른 해류 변화가 해양 플랑크톤 군집 조성과 종 다양성 변화에 기여하는 핵심 요소임을 밝혀냈다. 북동중국해는 제주도 남서쪽 해역으로 전 세계에서 수온 상승률이 가장 빠르며, 난류성 해류가 우리나라 해역에 유입되는 관문이다. 특히 해당 연구에서 최초로 발견한 다수의 아열대 맹독성 플랑크톤 종들은 우리나라 해역에서 환경변화에 따라 새로운 종에 의한 적조가 발생하거나 유해 생물이 대번식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팀은 온난화의 영향으로 쿠로시오 난류를 따라 우리 해역에 유입되는 아열대 유해플랑크톤의 종 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들을 계획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및 ‘해양-육상-대기 탄소순환시스템 연구사업’과 해양수산부 ‘쿠로시오 해류로 인한 한반도 해양위기 대응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한편, 전남대 해양학과는 이번 연구의 출발점이 된 학부생 해양조사 프로그램을 비롯한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프로그램들을 확대해 전공지식과 경험 증진을 위한 교육 활동들을 전개할 계획이다. *논문원제: Protistan community structure and the influence of a branch of Kuroshio in the northeastern East China Sea during the late spring. *문의: 062-530-3473(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장세현 교수)
전남대박물관 환상의 세계로의 초대
전남대박물관 환상의 세계로의 초대 신선윤 작가 6월 29일까지 전남대 역사관서 전남대학교 박물관(관장 정금희)은 신선윤 작가 초대전 'Fantastic World'를 6월 29일까지 대학역사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운영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인간이 애써 만들고 가꾸지 않아도 스스로 아름답고 경이로운 자연의 모습을 담은 작품 19점을 만날 수 있다. 극심한 온도 차에서도 날카로운 가시에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는 거대 선인장들 속에서 펼쳐지는 자연의 모습은 원시 생명력에 대한 경이와 함께 환상의 세계(Fantastic World)로 안내해 줄 것이다. 신선윤 작가는 자연을 파스텔톤과 화려한 색감으로 그려내는 연작시리즈 작업을 해오고 있다. 크기를 가늠할 수 없는 자연의 모습 속에 집, 사람과 동물이 함께 어우러져 표현됨으로써 몽환적이고 동화적인 느낌을 준다. 정금희 박물관장은 “자연이 주는 편안함과 아름다움으로 그려낸 이번 전시 <환상의 세계>를 통해 현대 사회의 변화와 속도에 지친 사람들이 작품을 관람하는 잠깐의 시간 동안이나마 쉼을 얻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최지선 박사과정생 한국축산식품학회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전남대 최지선 박사과정생 한국축산식품학회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 전남대학교 최지선 박사과정생이 한국축산식품학회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받았다. 한국축산식품학회는 지난 5월 18~20일 ‘전통축산식품과 푸드텍(FoodTech) 기술을 가미한 축산식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제55차 국제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날 최지선 동물자원학부 박사과정생은 ‘갈색거저리와 흰점박이꽃무지 등과 같은 유충에서 유용한 단백질을 추출하여 돈육단백질을 일부 대체하는 물성효과를 확인한 결과’라는 논문으로 대학원생 논문 경진대회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해당 논문은 최근 식물성 또는 곤충 단백질을 미래 식량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주목받는 상황에서 실현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연구는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에서 연구비를 받아 수행했으며, 현재 한경국립대, ㈜푸드렐라 및 ㈜FG&B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같은 대학원 김건호 박사과정생도 ‘누에콩 단백질(Faba bean protein)을 이용한 저염, 저지방 육제품 개발’을 주제로 같은 날 한국축산식품학회 대학원생 구두발표 경연대회 장려상을 받아 겹경사가 됐다. 이들의 지도교수이자 (사)한국축산식품학회장인 동물자원학부 진구복 교수는 “최지선 학생을 비롯해 전남대 식육과학연구실 대학원생들이 국제 학술대회에서 두각을 보이게 된 것을 축하한다. 앞으로도 미래 식량자원 연구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