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원장 김신중)은 2월부터 11월까지 빛고을노인재단과 함께 인문강좌 <빛고을 시니어 인문학 산책>을 운영한다.
이번 강좌는 호남지역에서 살았던 인물의 삶과 사상을 새롭게 조명하자는 취지에서 ‘호남인물열전-호남의 삶과 사상을 만나다’를 주제로 정했으며 사상가 중에서는 기대승, 정약용, 황현, 고정주, 이을호, 문화예술계 인물 중에서는 임제, 허련, 이난영, 이청준에 대해 조명할 예정이다.
강의는 매월 둘째주 화요일 오후 1시부터 2시30분까지 빛고을노인재단(광주 남구 노대동)에서 진행되며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 교수들이 강사로 나선다.
한편 호남학연구원은 인문학의 사회적 소통을 위해 다양한 인문학강좌를 기획해 운영해 왔다. 2011년에는 여성발전센터와 함께 주부와 여성을 대상으로 <인문학산책> 강좌를, 2012년에는 ㈜무등 임직원을 대상을 <한국 현대사 산책> 강좌를 진행했다. 호남학연구원은 앞으로 노인, 청소년, 이주민, 문화해설사 등 강좌 대상을 보다 확대할 방침이다.
세부 일정과 주제는 다음과 같다.
일정 |
대주제 |
세부주제 |
강사 |
02.12. |
개괄 |
노년, 인문학을 만나다 |
김경호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03.12. |
기대승 |
호남유학의 황금기를 이끌다 |
이향준(전남대학교 철학과) |
04.09. |
임제 |
청초 우거진 골에서 인생을 노래하다 |
조태성(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05.14. |
정약용 |
시대와 세상의 인심에 분노하다 |
김병인(전남대학교 사학과) |
06.11. |
허련 |
호남 화단에 남종화의 씨를 뿌리다 |
이선옥(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07.09. |
황현 |
나라가 망했는데도 죽는 사람 하나 없다면 |
류시현(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08.13. |
고정주 |
시대를 넘어 미래로 |
김창규(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09.10. |
이을호 |
호남학의 미래를 심다 |
장복동(전남대학교 철학과) |
10.08. |
이난영 |
목포의 눈물과 식민지의 유행가 |
최유준(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11.12. |
이청준 |
남도사람, 소리의 빛과 삶 |
한순미(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